모놀리식 아키텍처란, 마이크로서비스의 각광에 따라 마이크로서비스가 아닌 전통의 아키텍처를 지칭하는 의미로 생겨난 단어이다. 위의 그림에서 처럼 모든 모듈은 서비스 내부의 Product 형태로 종속되어 있으며, 서비스에만 집중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Monolithic 이라는 단어의 뜻 그대로 하나의 Massive 한 Context 형태의 아키텍처를 의미하며 

하나의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하나의 거대한 아키텍처를 가질 때, Monolithic 하다고 한다. 


 모놀리식 아키텍처를 갖는 Software의 특징은 그 자체로 강건하며 내부 요소간의 Dependency 를 크게 가질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는 필연적으로 구조적인 Coupling 이 강력하게 유지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각 비즈니스 컴포넌트들이 하나의 강한 결합 구조를 지니며 통일성이 있다.

이는 비즈니스 로직이 서비스에 최적화된 코드를 만들어내는데 좀 더 집중할 수 있는 반면 복합적인 예외를 만들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게 된다.



장점과 단점


 개발 초기에는 단순한 아키텍처 구조와 개발의 용이함이 큰 장점이지만 규모가 커짐에 따라 복잡도가 심각하게 증가한다.


 가령 토이 프로젝트를 한다고 생각해보자. 생각이 흐르는대로 Prototyping 을 할 때는 구조가 복잡하고 Dependency 가 크더라도 손쉽게 만들 수 있으며 오히려 모듈별로 분리하고 나누는 것은 코드의 최적화 및 구현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프로토 타이핑 이후에 새로운 컨텐츠를 추가하거나 새로운 팀원이 생겼을 때 문제는 시작된다. 이 거대한 구조가 본인에게는 간단하고 쉬울 수 있으나 새로운 팀원에게는 가혹하게 느껴질 것이다.


 또한 최근 클라우드 환경이 각광받으면서 두드러지게된 단점으로 하나의 모듈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전체 어플리케이션의 배포가 수반되며 서버 기동, 빌드 및 배포 시간이 오래걸린다는 점이 있다.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 관련 포스팅에서 한번 더 언급을 하겠으나, 일반적으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의 Scalability 복잡도가 N+M 이라면 모놀리식 아키텍처의 복잡도는 N*M 형태로 증가하기 때문에 컨테이너의 과부하와 배포 및 스케일링의 어려움을 겪게 된다.


또한 기술 스택의 선택폭이 좁아지며 많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다 강력하고 탄탄한 기술력이 요구된다. 이는 내부 구성요소들 간의 강력한 Dependency 문제 때문이다. 한 모듈의 선택은 다른 외부 모듈에서 버그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의 큰 그림이 아키텍처 구성 단계에서 그려져 있어야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최근에는 많은 서비스들이 초창기에 모놀리식으로 개발되고 향후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로 구조를 변경한다. 

혹은 인프라가 잘 갖추어진 회사에서라면 여러분을 도와줄 많은 플랫폼들이 이미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로 존재할 것이다.






IP 주소를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한 개념이 서브넷 마스크의 개념이다.



많이 알려져있듯이 서브넷 마스크는 커다란 네트워크를 다루기 위해 서브넷으로 네트워크들을 분리하고 나누어진 네트워크를 지정(designated) 하는 데 사용된다. 


서브넷 마스크는 서브넷을 분리하기위한 기준으로 클래스별로 어디까지가 네트워크 부분이고 어디까지가 호스트부분인가를 나타낸다. 


서브넷 마스크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띈다.


Class A: 255.0.0.0


Class B: 255.255.0.0


Class C: 255.255.255.0


클래스 A가 명시하는 바는, IP주소의 첫 8개 비트가 네트워크 영역을, 나머지 24 비트가 호스트 영역을 나타낸 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기존의 IP 주소와 자신이 갖고 있는 서브넷 마스크를 AND 연산 하면 네트워크 주소를 얻을 수 있다.


AND 연산이 갖는 의미는 자신이 가진 IP 주소의 1만큼의 부분, 즉 AND 연산으로 살아남는 부분들은 네트워크의 주소라는 일종의 Masking 이 된다. 


그리고 나머지 네트워크 주소가 아닌 호스트의 주소가 의미하는 바는 해당 서브넷에서 호스트로 할당할 수 있는 IP 주소의 범위가 된다. 


이 때 얻어진 네트워크 주소에서 Subnet Mask 의 0으로 된 비트를 모두 1로 바꾸어주면, 즉 마지막 주소가 브로드캐스트 주소가 된다.




가령 위와 같은 IP 주소가 Class C 의 서브넷 마스크를 가질 때, 위의 AND 연산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주소를 알아낼 수 있다.

(AND 연산은 연산하고자 하는 두 비트가 모두 1이면 1을, 그렇지 않으면 0을 반환한다.)


- 네트워크 주소 : 10.9.32.0

- 브로드캐스팅 주소 : 10.9.32.255

- Gateway 주소 : 10.9.32.1 (끝자리만 다른형태로 일반적으로 1)


이렇게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해서 서브넷을 나누는 것을 서브넷팅 이라 한다.

위의 변환은 일반적인 Class 의 서브넷팅을 설명한 내용이고 서브넷 마스크의 기본적인 동작을 나타낸다. 위와 같이 기본 Class C 로 나눈 경우에 해당 서브넷에 할당된 주소는 256개가 된다. 만약 나누어야하는 지역의 IP 가 이보다 훨씬 수가 적다면 이렇게 나누는 것은 낭비가 될 수 있으므로, 그럴 때는 서브넷 마스크를 변경하여 호스트 수를 조절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를 bit를 빌려온다(borrowed)라고 표현한다. (ex) 255.255.255.128


(*서브넷팅에 대한 좀더 발전된 사례는 클라우드 쪽 포스팅에서 다룰 수 있을 듯 하다.)



위와 같은 원리로 분리된 서브넷 들을 연결한다면 다양한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거대한 네트워크를 구성하기에 효율적이며 관리적 측면에서도 용이하다.


이렇게 분리된 네트워크가 갖는 장점은 보다 기능적인 브로드 캐스팅 도메인을 구성할 수 있고, 


좀 더 큰 의미에서 보자면 IP 주소의 절약 및 효율적인 사용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라우터를 중간에 둔 상태에서 여러 개의 간섭받지 않는 서브넷을 둔다면 큰 네트워크는 단지 대표 주소 들에 대한 서브넷을 관리하여 계층적인 구조를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자세한 내용은 라우터를 다루면서 한번 더 정리한다.)



일반적인 서브넷은 IP 네트워크 주소를 지역적으로 나누기 때문에, IP가 바뀌더라도 LAN은 동일한 서브넷으로 묶인다. 







가끔 대화를 하다보면 은근히 웹서버(Web Server),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 혹은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간에 단어의 사용이 혼동되어 쓰이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웹 프로젝트" 를 한다고 했을때 많은 학생들은 물론 가끔은 실무자 조차도 더러 자신이 만든 프로젝트가 어떤 종류의 서버인지 긴가민가 여기는 때가 있다.


가령 토이 프로젝트로 게시판을 만들었을 때, 이를 웹서버 경험이 있다고 해야하는지, 아니면 웹 뷰가 없을 때 이를 App Server 라고 봐야하는지 헷갈린다거나, 실무에서 해당 웹 프로젝트 아키텍처의 일부분으로 구성된 서버로 어떤 종류의 서버가 붙어야하는지 헷갈린다면 이 문서가 도움이 될 수 있다.




<굉장히 간단히 표현한 Application Server>



먼저 Application Server란 위에 보이는 것 처럼 말그대로 서버 그자체를 나타낸다.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네트워크가 연결되어있기만 하다면, 그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Endpoint 간의 통신을 할 수 있는 Server 이다.


즉, HTTP 뿐 아니라 TCP, UDP 등 다양한 프로토콜을 전달받아 클라이언트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당연히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의 처리를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Client는 단순히 정보를 Display하는 것 이상의 동작이 자유롭다. Java 진영에서는 트랜잭션 처리, 보안 처리, 리소스 풀링, 메시징 등을 처리해주는 EJB, J2EE 등이 대표적이다. 


많은 Application Server는 단순히 Web page를 띄우는 이상을 처리한다.(DB와의 동적인 연동, 클러스터링, fail-over, 로드밸런싱 등) 대표적인 Java 진영의 예로는 레진서버, Spring framework, Expresso 등이 J2EE의 대표적인 Application Server Framework이다. 

Application Server는 엄밀히 말하면 Web Server와 Web Application Server를 포함하는 상위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Web Server 는 HTTP 프로토콜을 주로 처리하는 서버이다. 즉, Web Server는 Application Server에 포함된다. 

HTTP Request를 받아 HTTP Response를 주며, Request를 처리하기 위해 Static HTML, Image 또는 JSON 등을 이용한다. JSP, 서블릿, ASP 등이 이용되어 요청에 대한 단순 응답을 반환하는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 인터넷 발달 초기, 단순히 인터넷을 통해 문서 조회만 가능하던 시절의 HTTP 서버들은 주로 정적인 동작만 하는 Web Server 였다고 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Apache가 있으며, Apache는 정적인 처리에 특화된 웹서버이고, 세트로 있는 Tomcat은 Servelet Container로 정적인 데이터와 동적인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지만, 주로 동적인 데이터의 처리를 하는 Web Application Server이다. 


 WAS 가 태어나게 된 배경은, 인터넷의 발달을 예로 들 수 있다. 인터넷의 편한 접근성과 HTTP 라는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프로토콜의 발달로, 인터넷을 통해 단순히 문서 조회 이상의 많은 것들을 요구하게 되었다. 


기존에 TCP / UDP 등의 프로토콜들이 처리하던 전자상거래, 파일 공유 등의 기능 들을 HTTP 로 수행하려다 보니 나타난 새로운 형태의 서버라 볼 수 있다.


 추가로 말하자면 정적인 HTTP 데이터 처리에 특화된 Web server에 동적인 데이터를 이용하게끔 하는 Container를 엮으면 WAS가 되며, WAS는 HTTP 를 이용하는 Application Server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미세한 차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위에 언급한 Static Server 의 경우 WAS라고 말하기 보다는 Web Server 혹은 스태틱 서버 라고 표현을 많이 하고,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는 TCP 서버 등은 WAS가 아닌 App Server 혹은 Application Server 로 표현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