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 (Micro Service Architecture) 란,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웹 기반 분산 서비스 시스템 아키텍처를 말하며, 이러한 아키텍처를 갖는 서비스 자체를 마이크로 서비스 (Micro Service) 라 한다.
앞선 포스팅에서 언급한 모놀리식(Monolithic) 아키텍처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가 여러개의 모듈이 결합된 강건한 형태의 아키텍처를 갖는다면,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는 반대로 독립된 각각의 모듈을 조립하여 만드는 하나의 서비스를 위한 아키텍처라고 볼 수 있다.
(참조(모놀리식 아키텍처) : http://jins-dev.tistory.com/entry/%EC%A0%84%ED%86%B5%EC%9D%98-%EC%86%8C%ED%94%84%ED%8A%B8%EC%9B%A8%EC%96%B4-%EC%95%84%ED%82%A4%ED%85%8D%EC%B2%98-%EB%AA%A8%EB%8D%B8-%EB%AA%A8%EB%86%80%EB%A6%AC%EC%8B%9DMonolithic-%EC%95%84%ED%82%A4%ED%85%8D%EC%B2%98?category=760149)
즉, Software 설계 시에 Loose Coupling 을 위하여 고려되는 "모듈화" 의 개념이 Web API 를 이용하여 서비스 레벨로 확장된 것으로 이해하면 편하다.
이는 오래된 개념이며, 최근에 클라우드 시스템 및 도커 등의 발달로 인해 보다 손쉬운 구현이 가능해지면서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는 작은 서비스들의 컬렉션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작은 서비스 단위들은 단일 비즈니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에서 서비스는 작고 독립적이며 느슨하게 결합되어 있다. 각 서비스는 작은 개발 팀이 관리할 수 있는 개별 코드 베이스이다. 서비스들을 독립적으로 배포할 수 있으며 팀이 전체 응용 프로그램을 다시 빌드한 후 재배치하지 않고도 기존 서비스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서비스는 해당 데이터 또는 외부 상태를 유지해야하고 이는 별도의 데이터 레이어를 갖는 기존의 모델과 다른점이다. 각 서비스들은 API를 사용하여 통신하고, 구현 내용은 감춰진다. 각 서비스들은 동일한 기술 스택, 라이브러리 또는 프레임워크를 공유할 필요가 없다.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는 노드 간의 서비스들을 관리할 수 있는 특징적인 구성요소를 지닌다. 또한 서비스 목록을 조회하거나 클라이언트로부터 들어오는 API의 진입점을 별도 인터페이스의 게이트웨이로 분리하는 특징을 지닌다. 이는 API 서버일수도, 어드민 형태의 웹페이지일 수도 있다.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가 사용되는 경우는 빠른 릴리즈 개발 속도가 요구되거나 고확장성이 필요한 복합적인 프로그램, 많은 하위도메인을 가진 거대한 프로그램 또는 소규모 개발 팀으로 구성된 조직에 유용하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점들로 인해 기인한다.
- 독립배포 : 전체 프로그램을 다시 배포하지 않고도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버그 수정 및 릴리즈 관리가 용이하고 위험부담이 덜하다.
- 독립개발 : 독립적인 개발팀들에 의해 개발될 수 있다.
- 집중화된 소규모팀 : 팀이 각 서비스에만 집중할 수 있다.
- 결함격리 : 한 서비스가 다운되더라도 전체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혼합기술스택 : 각 서비스에 적합한 기술을 선택하여 조합할 수 있다.
- 세분화된 확장성 :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소스의 유연한 운용이 가능하다.
위와 같은 장점을 갖고 있음에도 아직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는 모놀리식 아키텍처에 비해 복잡하며 독립된 구조로 인해 통합적인 유지 관리가 어려워질 수 있다. 가령 에러가 난 서비스의 권한이 다른 팀에 있다면, 그 부분의 보수를 위해서 우리가 직접 수정하는 것이 아닌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서비스 구성에 있어 네트워크 정체 및 통신에 신경을 써줘야 하며 데이터 일관성 및 버전 관리가 중요해진다. 그리고 프로젝트 진행에 있어 팀원들이 이루는 문화가 중요해진다. 이러한 기조에서 알맞은 개발 문화가 개발자가 운영까지 담당하는 DevOps(데브옵스) 문화라 할 수 있다.
'Computer Base > Computer Enginee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밍의 2가지 로직 패턴. 도메인 모델(Domain Model) & 트랜잭션 스크립트(Transaction Script) (0) | 2018.08.09 |
---|---|
메타데이터(Meta Data) (0) | 2018.08.06 |
개발자도 알아야할 몇가지 SW 테스팅의 종류 (0) | 2018.08.05 |
유니코드에 대해서 (0) | 2018.08.04 |
전통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모델 - 모놀리식(Monolithic) 아키텍처 (0) | 2018.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