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1.0 은 가장 기초적인 형태의 웹 프로토콜을 제시하였고, 이는 일전 포스팅에도 정리되어 있듯이 TCP 프로토콜 위에 HTTP Spec 을 이용한 HTTP 프로토콜을 충실히 따른다.
이 방식은 웹이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TCP에 비해 나은 성질의 프로토콜이었으나, 웹의 규모가 거대해지면서 몇가지 이슈들이 발생하였다.
특히 Network Latency 이슈가 주된 문제였는데, HTTP/1.1 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징적인 2가지 개념을 도입한다.
(1) HTTP Pipelining (HTTP 파이프라이닝)
HTTP Pipelining 이란 HTTP1.1 로 스펙이 업그레이드 되면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요청과 응답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만들어진 개념이다.
HTTP Request 들은 연속적으로 발생하며, 순차적으로 동작한다.
HTTP/1.0 에서 HTTP Request 는 소켓에 write 한뒤, 서버의 Response 를 받아 다음 Request 를 보내는 방식으로 웹이 동작한다.
여러 요청에 대해 여러 응답을 받고, 각 처리가 대기되는 것은 Network Latency 에 있어서 큰 비용을 요구한다.
게다게 HTTP/1.0 에서 HTTP 요청들은 연결의 맺고 끊음을 반복하기 때문에 서버 리소스 적으로도 비용을 요구한다.
HTTP/1.1 에서는 다수의 HTTP Request 들이 각각의 서버 소켓에 Write 된 후, Browser 는 각 Request 들에 대한 Response 들을 순차적으로 기다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요청들에 대한 응답 처리를 뒤로 미루는 방법을 사용한다.
즉, HTTP/1.1 에서 클라이언트는 각 요청에 대한 응답을 기다리지 않고, 여러개의 HTTP Request 를 하나의 TCP/IP Packet 으로 연속적으로 Packing 해서 요청을 보낸다.
파이프라이닝이 적용되면, 하나의 Connection 으로 다수의 Request 와 Response 를 처리할 수 있게끔 Network Latency 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위의 기법 설명에서 언급하듯이, 결국 완전한 멀티플렉싱이 아닌 응답처리를 미루는 방식이므로 각 응답의 처리는 순차적으로 처리되며, 결국 후순위의 응답은 지연될 수 밖에 없다.
<이미지 출처 : https://www.popit.kr/%EB%82%98%EB%A7%8C-%EB%AA%A8%EB%A5%B4%EA%B3%A0-%EC%9E%88%EB%8D%98-http2/>
이는 HTTP의 Head Of Line Blocking 이라 부르며 Pipelining 의 큰 문제점이다.
따라서 HTTP/1.1 의 웹서버는 서버측에 Multiplexing 을 통한 요청의 처리를 요구하며, 각 Connection 당 요청과 응답의 순서가 보장되는 통신을 한다.
HTTP 파이프라이닝은 HTTP/2 가 등장하면서 멀티플렉싱 알고리즘으로 대체되었고, 모던 브라우저들에서도 기본적으로는 활성화하지 않고 있다.
(2) Persistent Connection
HTTP 1.0 초기의 HTTP 연결은 요청시 TCP 의 3-way handshake 방식으로 연결이 이루어졌었다.
즉, 웹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연결 성립 이후 SYN, SYN-ACK, ACK 핸드셰이킹이 발생하고 이를 바탕으로 통신을 구성한 뒤 연결을 끊는 순서가 필요했다..
웹의 초창기에는 컨텐츠의 수가 많지 않았기 때문에 이런 TCP 연결은 부담되지 않았지만, 웹을 통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발달로 인해, TCP Connection 의 재사용이 요구되게 되었다.
웹에서의 커넥션 재사용을 Keep-alive 또는 Connection reuse 라 하며, HTTP/1.0 에서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요청하는 Request Header에 다음과 같은 값을 통해 연결을 유지하였다.
Connection: keep-alive
HTTP/1.1 에서는 이 헤더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모든 요청/응답이 Connection을 재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필요없는 경우에만 TCP 연결을 종료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Connection: close
해제 시에 위와 같은 명시적 Connection 헤더를 이용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무조건 연결은 재사용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이슈는 HTTP/2 로 웹이 한단계 더 발전하면서 해결되었다.
자세한 건 다음 링크를 참조
현재 웹 표준으로는 HTTP/2 가 개발중이며 이미 공개가 되어있다. HTTP/2 에서는 구글이 프로토타입으로 제시한 SPDY 등의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웹 기술의 발전이 예상되는 만큼 위의 기술들 또한 보다 더 나은 방향으로 진화될 것이라 생각한다.
'Server >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NGINX 를 이용한 환경 설정 방법 (0) | 2018.12.04 |
---|---|
L4 / L7 로드밸런싱(Load Balancing) 에 대하여 (0) | 2018.10.15 |
웹브라우저(Web Browser)가 어떻게 캐시하는지에 대하여 (0) | 2018.10.11 |
어떻게 쿠키(Cookie) 가 동작하는지에 대하여 (0) | 2018.10.08 |
DNS 작동 원리(How DNS works) (0) | 2018.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