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놀리식 아키텍처란, 마이크로서비스의 각광에 따라 마이크로서비스가 아닌 전통의 아키텍처를 지칭하는 의미로 생겨난 단어이다. 위의 그림에서 처럼 모든 모듈은 서비스 내부의 Product 형태로 종속되어 있으며, 서비스에만 집중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Monolithic 이라는 단어의 뜻 그대로 하나의 Massive 한 Context 형태의 아키텍처를 의미하며 

하나의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하나의 거대한 아키텍처를 가질 때, Monolithic 하다고 한다. 


 모놀리식 아키텍처를 갖는 Software의 특징은 그 자체로 강건하며 내부 요소간의 Dependency 를 크게 가질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는 필연적으로 구조적인 Coupling 이 강력하게 유지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각 비즈니스 컴포넌트들이 하나의 강한 결합 구조를 지니며 통일성이 있다.

이는 비즈니스 로직이 서비스에 최적화된 코드를 만들어내는데 좀 더 집중할 수 있는 반면 복합적인 예외를 만들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게 된다.



장점과 단점


 개발 초기에는 단순한 아키텍처 구조와 개발의 용이함이 큰 장점이지만 규모가 커짐에 따라 복잡도가 심각하게 증가한다.


 가령 토이 프로젝트를 한다고 생각해보자. 생각이 흐르는대로 Prototyping 을 할 때는 구조가 복잡하고 Dependency 가 크더라도 손쉽게 만들 수 있으며 오히려 모듈별로 분리하고 나누는 것은 코드의 최적화 및 구현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프로토 타이핑 이후에 새로운 컨텐츠를 추가하거나 새로운 팀원이 생겼을 때 문제는 시작된다. 이 거대한 구조가 본인에게는 간단하고 쉬울 수 있으나 새로운 팀원에게는 가혹하게 느껴질 것이다.


 또한 최근 클라우드 환경이 각광받으면서 두드러지게된 단점으로 하나의 모듈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전체 어플리케이션의 배포가 수반되며 서버 기동, 빌드 및 배포 시간이 오래걸린다는 점이 있다.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 관련 포스팅에서 한번 더 언급을 하겠으나, 일반적으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의 Scalability 복잡도가 N+M 이라면 모놀리식 아키텍처의 복잡도는 N*M 형태로 증가하기 때문에 컨테이너의 과부하와 배포 및 스케일링의 어려움을 겪게 된다.


또한 기술 스택의 선택폭이 좁아지며 많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다 강력하고 탄탄한 기술력이 요구된다. 이는 내부 구성요소들 간의 강력한 Dependency 문제 때문이다. 한 모듈의 선택은 다른 외부 모듈에서 버그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의 큰 그림이 아키텍처 구성 단계에서 그려져 있어야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최근에는 많은 서비스들이 초창기에 모놀리식으로 개발되고 향후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로 구조를 변경한다. 

혹은 인프라가 잘 갖추어진 회사에서라면 여러분을 도와줄 많은 플랫폼들이 이미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로 존재할 것이다.



+ Recent posts